본문 바로가기
초등한국사

인조반정, 정묘호란,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

반달 친구 2023. 10. 18.
반응형

삼전도
삼전도

 


목 차

  인조반정, 정묘호란,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

  • 인조반정, 1623년
  • 정묘호란, 1627년
  • 병자호란, 1636년
  • 삼전도의 굴욕

인조반정, 1623년

 

임진왜란이 끝나고 선조는 광해군 대신 영창 대군을 세자로 바꾸려 하였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선조의 죽음으로 광해군이 15대 왕으로 즉위하게 됩니다. 광해군은 전쟁의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토지와 인구를 조사하여 국가 재정을 늘리고자 하였습니다. 그리고 선조의 명으로 편찬하기 시작한 <동의보감>이 1610년 완성됩니다. <동의보감>은 허준이 쓴 책으로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를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적어 놓은 의학 백과사전입니다. 또한 이 책은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명은 임진왜란 참전 후 점점 힘이 약해졌습니다. 만주에서는 여진이 세력을 키워 후금을 세웠고, 힘이 강해진 후금은 중국을 차지하기 위해 명을 침략하였습니다. 후금이 명을 침략하자, 명은 조선에 도움을 요청하였습니다.

당시 조선의 왕 광해군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고민하게 됩니다. 명은 임진왜란 때 도움을 주었기에 모른 척 할 수 없었고 그러나, 힘이 커진 후금에 대항하는 것도 좋지 않을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광해군은 신중한 중립 외교를 펼치면서 전쟁에 휘말리지 않으려 했습니다. 명에 군대를 파견한 광해군은 적극적으로 전투에 참여하지 말고 적절한 때에 후금에 항복하여 전쟁을 피하라 지시하였습니다.

이렇게 광해군은 명나라와 친분을 유지하며 후금과도 다투지 않는 중립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그러나 광해군의 중립 외교는 명의 은혜를 저버리는 것이라며 서인들은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왕의 자리에서 쫓아내고 인조를 왕으로 세웠습니다. 이를 인조반정이라 합니다. 이후 인조는 중립 외교 대신 명나라와 의리를 중시하는 도덕 외교를 실시하게 됩니다.      

 

정묘호란, 1627년

 

인조가 왕이 되고 조선은 친명배금 정책으로 명은 가까이하고 후금은 멀리하였습니다. 그러자 후금은 광해군의 복수를 하겠다는 핑계로 조선에 쳐들어옵니다. 이렇게 정묘호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후금은 황해도 지역까지 침입하였고,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하게 됩니다. 그리고 조선의 관군과 의병은 후금에 대항하여 끈질기게 맞서 싸웠습니다. 조선의 반격으로 전쟁이 길어지자, 명나라와의 전쟁을 앞두고 있던 후금은 조선과의 전쟁을 서둘러 끝내고자 화해를 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조선은 후금과 형제 관계를 맺게 됩니다.

 

병자호란, 1636년

 

점점 세력을 키운 후금은 나라 이름을 '청'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조선은 여전히 명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후금을 멸시하고 가깝게 지내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청은 조선과 청의 관계를 '형제 관계'에서 '군신 관계(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바꿔 신하의 예를 갖추라고 요구하였습니다. 이를 거절하자 청은 군대를 이끌고 다시 조선을 침략하였습니다. 이를 병자호란이라고 합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는 또다시 강화도로 피신하려 했으나 청의 군대가 빠른 속도로 한양까지 밀고 들어오자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습니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전쟁에 대비되어 있지 않았고 식량도 부족했습니다. 의병과 관군은 남한산성을 지키기 위해 계속 싸웠지만 상황은 점점 불리해졌습니다. 날씨은 매우 추웠고 물과 식량도 거의 바닥이 났습니다. 조선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청에 항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삼전도의 굴욕

 

결국 인조는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하며 굴욕적인 강화를 맺게 됩니다. 삼전도는 한양과 남한산성을 이어주는 나루터로 현재 서울 송파구 삼전동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인조는 하급 관리가 입는 남색 융복을 입고 남한산성에서 나와 삼전도에서 청의 황제에게 이마를 세 번 땅에 대고 절을 한 번하는 것을 세 번 하며 머리를 조아렸습니다. 그리고 청을 황제의 나라로 섬기기로 약속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조선과 청은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맺게 되었고,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을 비롯한 많은 대신들과 백성들은 청에 인질로 끌려갔습니다. 이후 조선은 청에 조공을 받쳐야 했고 청이 전쟁을 할 때면 지원군을 보내야 했습니다.  

 

 

조선왕조계보(1392~1910)

 

14대 선조 (1567~1608)
15대 광해군 (1608~1623)
16대 인조 (1623~164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