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조선의 최고 과학자 장영실과 자격루 목 차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조선의 최고 과학자 장영실과 자격루 훈민정음 장영실과 조선의 과학 기술 세종은 조선의 4대 왕으로 1418년부터 1450년까지 재위하였습니다. 이 당시 나라는 안정되고 평화로웠습니다. 세종은 백성들이 잘 살기 위해 끊임없이 생각하며 여러 가지 일들을 실행하였습니다. 세종은 신분에 상관없이 능력 있는 사람을 궁궐로 불러들였습니다. 그리하여 세종 대에 조선은 과학기술과 문화, 그리고 국방 등 여러 방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며 민족 문화 발전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 과학 기구가 발명되었고, , , 등 다양한 편찬 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세종 대에는 인쇄술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우리글인 '훈민정음' 창제가 이루어졌습니다. 훈민정음 세종은 우수한 인재를 등.. 2023. 9. 17. 조선 전기 대외 관계와 봉수 제도, 분청사기와 백자 목 차 조선 전기 대외 관계와 봉수 제도, 분청사기와 백자 조선 전기 대외 관계 봉수 제도 조선 전기의 그림과 공예, 분청사기와 백자 조선 전기 대외 관계 1402년 조선초기 태종 때 만들어진 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 지도입니다. 이 지도에는 조선과 중국, 아프리카와 유럽까지 그려져 있으며 35여 개의 아프리카 지명과 100여 개의 유럽 지명이 적혀 있습니다. 당시 조선 사람들은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했기에 지도 중앙에 중국이 가장 넓게 위치해 있으며, 조선은 유럽과 아프리카를 합한 것과 비슷한 크기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중국과 조선 중심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선은 건국 초기에는 명과 대립하였지만, 태종 이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중국에 사대 정책을 펼쳤습니다... 2023. 9. 13. 성균관, 조선의 교육 제도와 관리 등용 제도 목 차 성균관, 조선의 교육 제도와 관리 등용 제도 성균관, 조선 최고의 교육 기관 과거 제도 조선 시대 초등 교육 기관으로 마을에 서당이 있었고, 중등 교육 기관으로는 지방은 향교, 중앙에는 4부 학당이 있었습니다. 서당에서는 어린아이들이 과 을 배웠고, 향교에 들어가서는 유학을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능력 있는 관리들을 길러내기 위한 최고 교육 기관으로 성균관이 있었습니다. 성균관은 유학 교육을 실시하며 인재를 양성하였습니다. 성균관에서 일정 기간 공부를 하면 과거 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습니다. 조선 시대 높은 고위 관리가 되기 위해선 꼭 다녀야 하는 학교였습니다. 조선의 과거 제도에는 문인을 뽑는 문과, 무인을 뽑는 무과 그리고 기술관을 뽑는 잡과가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는 가문보다는 개인의 실.. 2023. 9. 10. 조선시대 유교 윤리와 조선의 기본 법전, 경국대전 목 차 조선시대 유교 윤리와 조선의 기본 법전, 경국대전 조선시대 유교의 가르침 경국대전, 조선시대 나라의 기본 법전 조선은 건국하면서 고려말 타락한 불교를 대신하는 사상으로 유교를 선택했습니다. 조선은 숭유억불정책으로 불교를 멀리하고 유교를 받아들입니다. 유교는 조선 시대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으로, 부모에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하며 남녀의 도리를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3년 동안 자식은 무덤 옆에 초막을 짓고 지키며 효를 실천했습니다. 질서와 예절이 바로 선 조선을 만들기 위해 관혼상제와 삼강오륜을 중요시하였습니다. 그리고 나라의 기본 법전인 을 편찬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유교의 가르침 조선 시대에는 왕과 백성들 모두 유교 예법에 따라 집안 행사를 치렀습니다. 이를 .. 2023. 9. 7. 조선 제 3대 태종과 조선의 신분제도 및 생활모습 목 차 조선 제 3대 태종과 조선의 신분제도 및 생활모습 조선 제 3대 태종, 이방원 조선의 신분제도와 생활모습 2차 왕자의 난(1400년)으로 이방원은 조선 제 3대 태종이 되었습니다.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고자 여러 제도를 시행하였습니다. 귀족들의 사병을 없앴고, 6조 직계제를 통해 왕이 모든 일을 직접 보고받아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호패법을 실시하였으며, 교육기관을 세우고 과거제도를 통해 왕권강화에 힘썼습니다. 그리고 유교 사상을 근본으로 한 조선은 양반 중심의 엄격한 신분 사회였습니다. 조선 제 3대 태종, 이방원 태종은 조선의 세 번째 왕으로 1400년 즉위하여 1418년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줍니다.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왕족이나 신하들이 거느린 사병을 없앴습니다. 그리고 전국을 8도로 나.. 2023. 9. 5. 조선의 수도, 한양 그리고 이방원의 '왕자의 난' 목 차 조선의 수도, 한양 그리고 이방원의 '왕자의 난' 새로운 조선의 수도, 한양 왕자의 난 이성계와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신진 사대부들은 드디어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였습니다. 조선은 유교를 바탕으로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 조선은 한양을 수도로 정하고, 종묘와 사직을 세웠습니다. 유교 정신을 담아 도성을 설계하였고, '큰 복을 누리라'는 의미의 경복궁과 유교 덕목을 넣어 사대문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이방원은 조선이 건국되는 과정에서 많은 공을 세웠지만 인정받지 못하자 왕자의 난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조선의 3대 왕, 태종이 됩니다.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고 여러 제도를 시행하며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새로운 조선의 수도, 한양 무학대사는 .. 2023. 8. 30.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